- 콜드체인산업 2016~2021년 연 10% 성장률 지속 -
- 백신 수급으로 관리시스템 및 기술력 중요성 대두 -
베트남의 백신 수급 현황 및 계획
지난 한해, 코로나19에 대한 전 세계적인 대응 키워드가 '봉쇄'였다면, 올 한 해 각국 정부의 메인 관심사는 바로 '백신 수급'이다. 모든 국가가 자국민에 대한 백신 접종률을 높이려고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으며, 주요 백신 생산국으로부터 공급을 받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특히, 내수시장에 대한 활력 회복, 영업 및 생산활동에 대한 정상화를 위해서는 백신 수급을 더 이상 미룰 수 없게 됐으며, 백신 접종률이 높은 국가들 간에는 점차 왕래를 허용하고 있는 추세다. 결과적으로, 백신 수급이 경제성장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됐고 수급이 늦어질수록 간접적인 피해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 역시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세가 지속됨에 따라 백신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2022년 4월까지 전체 인구의 70%에 대한 접종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이번 7월부터 1만9000여 개의 백신 접종소를 목표기간 동안 설치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베트남이 확보한 백신은 1억500만 건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398만 명 정도가 백신접종을 완료했다(2차 접종자 25만 명).
사실 백신 확보와 더불어 정말 중요한 사항이 하나 있는데, 이는 바로 백신의 안전한 보관과 운송이다. 안전한 보관과 운송없이는 수급받은 백신의 사용이 불가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반드시 구축해야 되는 것이 바로 이번 기사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볼 콜드체인이다.
베트남의 콜드체인 산업 현황
콜드체인(Cold-chain)이란, 제품의 생산부터 소비자에게 최종 배송되는 동안에도 일정한 저온 범위 유지를 위해 적용되는 활동과 장비들을 뜻한다. 콜드체인 시장은 크게 냉장, 냉동 창고와 냉장, 냉동 운송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주로 육류, 해산물, 신선한 농산물, 냉동식품 그리고 의약품과 같이 신선도를 유지시켜 주는 상품 취급이 메인이다.
사실 베트남의 콜드체인 시장은 코로나19 확산 이전부터도 꾸준히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었다. 크게 4가지 성장 요인으로 인해 성장을 해왔는데, 바로 ① 냉장냉동 식품의 소비증가 ② 농수산식품군의 수출입증가 ③ 현대식, 온라인 유통채널의 확대 ④ 정부의 인프라 확충계획 발표이다. 지난해 코로나19가 확산되면 베트남도 비대면 - 온라인 쇼핑의 열기가 더욱 뜨거워졌고 재래시장과 일부 대형마트들이 정부 방역지침으로 인해 영업을 중단하는 경우도 겹치면서 신선식품 그리고 식료품에 대한 비대면 구매증가가 시장 확대를 증가세를 더하고있다. 이 여파로, 식료품에 대한 신선도 유지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고 냉동·냉장 운송산업에도 조명이 집중되고 있다.
2019년 베트남 콜드체인 시장 규모
자료: FinGroup
베트남의 콜드체인 시장규모는 2021년 기준 약 1억8000만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예측되며, 운송시장이 창고시장보다 더 큰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냉장냉동 창고는 기업이 필요한 원료나 생산제품을 보관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창고와 임대 목적의 창고로 구분할 수 있으며, 외국계 업체와 베트남 현지 업체 모두 시장에 분포하고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진출기업으로는 Lotte Global Logistics, Hanro TNS 등이 있고, 베트남 현지 업체로는 Hoang Lai, ABA Cooltrans, Thang Long Logistics 등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2019년 기준 상업용 전체 냉장 창고 규모는 약 60만 팰릿으로 추정되고, 냉장냉동 차량의 대수는 약 700대로 집계되고 있다. 또한, 냉장 냉동창고의 약 80%가 주요 항구가 위치한 호찌민 등 남부지역에 집중돼 있으며, 2016년을 기점으로 하노이 등에도 조금씩 확산하고 있는 추세이다.
베트남 콜드체인산업의 성장 배경
냉장냉동 유통이 필요한 식품의 연도별 수입액
(단위: 천 달러)
자료: ITC Trade Map
베트남 콜드 체인의 주요 품목군은 외국에서 수입되어 오는 어패류, 신선과일류, 채소류 등이며, 해당 품목들의 수입액이 점차 증가하는 것을 상기 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가계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어패류와 육류에 대한 소비도 증가하게 됐고, 육류의 경우 2016년 기준 2억 달러에도 못미치던 품목이, 2020년에는 4억 달러의 수입규모를 달성했다. 이렇듯 신선 식품에 대한 수출입 증가는 콜드체인 시장의 확대를 가져온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콜드체인의 성장을 이끌어 낸 주요한 또 하나의 요소는 바로 현대식 편의점 및 마트, 그리고 온라인 쇼핑의 증대이다. 베트남의 소매시장은 여전히 전통적인 재래시장과 소규모 독립 상점이 주를 이루지만, 현대식 시스템을 갖춘 대형 마트 그리고 소규모의 편의점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편의점 같은 경우 주요 도시인 하노이와 호찌민을 제외하고도 지방 도시들까지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덕분에 지방 거주자들도 콜드체인으로 유통되는 식품들을 접할 기회가 생기고, 냉동식품 및 신석식품에 대한 친밀도가 높아지면서 현대식 유통채널에 선호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아울러,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이어지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전자상거래를 통한 신선식품 구매비중도 늘어났는데, 이 덕분에 골드체인 물류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더욱 확대됐다.
베트남 콜드체인 산업의 주요 기업 및 현황
냉장냉동창고
2019년 주요 업체별 냉장냉동 창고 규모 및 위치
(단위: 파렛트)
회사명 |
합계 |
호찌민 |
하노이 |
껀터 |
하이퐁 |
다낭 |
Emergent Cold |
56,500 |
36,500 |
20,000 |
- |
- |
- |
Hoang Lai |
50,000 |
50,000 |
- |
- |
- |
- |
Mekong Logistics |
50,000 |
- |
- |
50,000 |
- |
- |
ABA Cooltrans |
40,000 |
25,000 |
15,000 |
- |
- |
- |
Thang Long Logistics |
35,000 |
20,000 |
12,000 |
- |
- |
3,000 |
Phan Duy |
30,000 |
30,000 |
- |
- |
- |
- |
Meito |
30,000 |
30,000 |
- |
- |
- |
- |
Lotte Global Logistics |
23,000 |
23,000 |
- |
- |
- |
- |
Preferred Freezer |
24,000 |
24,000 |
- |
- |
- |
- |
자료: Fin Group
베트남의 주요 냉장냉동창고 운영업체
구분 |
업체명 및 로고 |
||
한국계 |
|
||
Lotte Global Logistics |
Hanaro TNS |
AJ Total |
|
외국계 |
|
||
Emergent Cold |
Konoike Vinatrans |
Preferred Freezer Services |
|
베트남현지 (냉장냉동 트럭 보유 가능) |
|||
ABA Cooltrans |
ALS |
SATRA |
|
Thang Long Logistics |
Tan Bao An Logistics |
Vinafco |
자료: 농식품수출정보(KATI)
베트남의 콜드체인 시장은 생각보다 역사가 그리 길지않다. Konoike Transport Co. Ltd(일본), Vinatrans Co.(베트남), Vinalink Co.(베트남) 그리고 Vinafreight Co.(베트남)의 공동투자로 Swire라는 냉장냉동창고 임대 서비스가 설립되고, 이 회사가 1998년 처음으로 베트남 콜드체인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다. 이후 사명을 Emergent Cold로 변경하며, 지금까지도 가장 많은 수의 창고를 보유한 냉장냉동 창고 임대 서비스 회사로 남아있다. 2000년대부터는 Hoang Lai, ABA Cooltrans 등 베트남 현지 기업들도 본격적으로 콜드체인 시장에 뛰어들게 되며, 2013년에 접어들면서 시장규모가 더욱 빠르게 증가하게 되었다.
2019년 기준 베트남의 냉장냉동창고 팰릿 규모가 약 60만 개로 추정되는 것을 떠올리며 위에 자료를 참고한다면, 상위 9~10개 업체가 전체시장규모의 70%를 차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창고들이 호찌민 지역에 포진하고 있으며, Emergent Cold, Thang Long Logistics, ABA Cooltrans 등은 하노이에도 창고를 신설했다. 2020년부터 Hung Vuong, Tan Bao An Logistics, ALS Logistics, Hanaro TNS(한국) 등이 약 7만9000팰릿을 신설하고, 2021년에는 AJ Total이 호찌민 일대에 3만1000팰릿 규모의 신규 창고를 구축할 예정이다.
지역별 냉장냉동창고 규모 및 백신보관소 운영 현황
자료: 농식품수출정보(KATI), 현지 언론,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
앞서 살펴본바와 같이, 대부분의 냉장냉동 창고는 베트남 남부지역에 있으며, 이는 신선식품에 대한 수출입물량, 그리고 대형 마트로의 유통. 마지막으로 메콩강 일대에서 양식되는 수산물 수출에 대한 수요 때문에 그렇다. 베트남 중부지역의 경우 남부지역에 비해 인구가 비교적 적은 편에 속해 발달이 다소 더딘 것으로 파악되며, 하노이 및 북부지역은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이다.
참고로, 백신의 경우 보건부에서 지정한 Vietnam Vaccine JSC(VNVC)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하노이, 다낭, 그리고 호찌민에 -86℃~-46℃의 극저온 보관이 가능한 보관소를 설치해 유통을 진행하고 있다.
냉장냉동 운송
베트남 전체의 냉장냉동 운송 차량은 주요 업체에서 700여 대를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영세규모의 기업들까지 합치면 약 1000~1200가 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한 가지 특이한 사항은 운송업의 경우 외국계 자본 지분이 51%가 초과할 경우 허가되지 않기 때문에 51% 이상을 가진 냉장냉동창고 업체들은 현지의 업체에 따로 외주를 주어야한다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우리 진출기업들도 운송업을 허가받지 못하고 외주를 주는 경우가 있다. 콜드체인 시장이 성장하면서 운송업에 대한 시장규모도 커지고 있고, 앞으로 더 빠른 속도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초기 투자비용이 낮아 작은 소규모 회사들도 쉽게 진입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어 경쟁도 심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전문 운송업체들은 고객 화물에 대한 업데이트, 실시간 추적을 위한 GPS 시스템,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대부분 일본과 한국에서 수입을 하고 있다.
베트남의 콜드체인과 백신수급
우리나라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백신 보관 수송 관리 지침에 따르면, 주요 통용되는 대표 백신 4개(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얀센)모두 냉동 또는 냉장보관이 필수적이며, 2-8℃ 사이를 유지하며 유통이 가능하나 대부분 초저온 상태로 보관이 필요하다.
* 보관온도: 화이자 -90~60℃ / 모더나, 얀센 -25~15℃ / 아스트라제네카 2~8℃
이와 같이 저온의 온도범위에서 보관돼야 하는 백신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보관시설, 이동 설비, 저장 용기 등 백신 종류에 맞는 물류 인프라를 확보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고도의 물류 관리 역량이 필요하다. 기존 콜드체인 물류 시스템에서도 적정 온도 유지는 가장 중요시 여겨야 할 사항이나, 특히 백신과 같은 의약품의 경우에는 아주 짧은 시간이라도 온도 관리에 문제가 있을 경우 적정 인프라 확보와 전체 프로세스를 아우른 세밀한 온도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백신의 수입에서 접종까지의 전체 과정에서의 온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사이의 이동단계에서 온도가 정해진 구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관리하는 역량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백신 보관을 위한 베트남의 콜드체인 인프라는 화이자 백신의 공급을 제외하고는 현재 양호한 수준으로 여겨진다. 앞서 언급한 VNVC에서 극저온 냉동창고를 설치했지만, 아직까지 보관 시설이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70℃ 수준의 온도를 유지한 채 63개 지방 성시에 백신을 공급해야되는데 운송 수단과 육로 인프라 등에 대한 대한 문제도 함께 동반되고 있다.
극저온 보관 창고 이외에 해결해야 되는 가장 중요한 문제는 바로 백신의 관리 및 추적 시스템이다. 이 부분은 베트남의 콜드체인 산업에 국한된 내용은 아니며, 전체 물류 시스템에서 개선해야 되는 중요한 사항이기도 하다. 현지 대기업 및 진출 글로벌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물류센터는 대부분 자동화된 시스템이 도입돼 있으나, 기업이 집중된 남부와 북부지역을 제외한다면 현대적 관리 시스템을 아직까지 도입하지 않는 곳이 많다. 산간, 농촌 등 도시와 거리가 있는 지방까지도 안전하게 백신을 수급하기 위해서는 물류산업의 현대화도 필요한 시점이다.
시사점
베트남의 콜드체인 시장은 농수산물에 대한 수출입, 그리고 신선식품에 대한 공급이 증가함에 따라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10퍼센트의 성장률을 달성하는 유망한 산업이다. 또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신선식품의 배송량 증가도 시장 성장에 가속도를 더하고 있다. 또, 베트남 정부가 콜드체인 물류 인프라 구축을 위해 각종 금융 혜택을 제공하는 만큼 기업들의 투자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기업별 분류에 따른 특징 분석
분류 |
주요 특징 |
외국계기업 |
- 수준 높은 관리시스템(온도 관리, 실시간 보관 제품 모니터링, 교차오염 방지) - 서비스 제공 범위 다양(재분류, 재포장, 라벨링, 제품 점검 등) - 전문적인 관리팀 보유 - 매장 재고 관리 IT 시스템 보유 - 운송차량은 전문업체에 외주 |
베트남 현지기업 |
- 외국계 기업 냉장냉동 창고 벤치마킹 추구 - 운송차량까지 함께 운영 가능 |
베트남 현지 영세업체 |
- 100파렛트 미만의 소규모 창고 운영 다수 - 간단하게 설계된 소규모 냉장 냉동 창고 보유 |
자료: 농식품수출정보(KATI),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
베트남의 콜드체인 시장이 계속 조명되는 가운데, 가장 중요하게 눈여겨봐야 할 사항은 바로 관리 시스템이다. 백신 수급으로 인해 냉장냉동 창고와 운송에서의 관리가 더욱 각광받고 있으며, 베트남의 현지기업들 역시 외국계 진출기업들의 시스템을 벤치마킹하고, 새롭게 적용하고 있다. 보관할 수 있는 용량에 대한 투자도 중요하지만,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이야말로 여전히 현지 기업들과 차별화를 둘 수 있는 강점으로 남아있으며, 코로나19가 재확산됨에 따라 더욱 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지 지출기업 관계자에 따르면, 냉동창고에 대한 수요는 날로 늘어가고 있으며 양질의 상품을 위한 콜드체인 배송에 더욱 관심이 가고 있으나, 성공적인 콜드체인 사업을 위해서는 물류 인프라(물류망) 및 안정적인 물동량 등에 대해 충분한 사전 검토가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식품수출정보, Fin Group, 현지언론, 베트남 보건부,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